반응형

 

온누리 상품권이란 ?

온누리 상품권은 중소벤처기업부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에서 발행하는 상품권입니다 

 

전통시장과 지역 상점가의 활성화를 위해 정부에서 발행하는 상품권인데요 그 목적상 사용처가 시장과 지역상점으로 제한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전국에서 운영을 하는 대형마트나 프랜차이즈에서는 사용을 할 수 없습니다 .

 

정확한 사용처는 온누리상품권 가맹점포찾기나 상점 외부에 붙어있는 가맹점 스티거를 확인하면 되는데요,

소비 활성화를 위하여 구매 시 상품권 가격의 5%~10% 정도를 할인해서 판매하기 때문에 지역 시장에서

비싼 물건을 구매해야 할 때는 온누리 상품권을 먼저 구입 후 지불하면 돈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개인이 구매할 수 있는 구매한도는 온누리 상품권 종류에 따라 다른데요  아래를 참고해주세요 

 

 


 

온누리 상품권과 지역사랑 상품권의 차이

온누리 상품권은 전통시장과 전통시장에 준하는 지정된 골목상권 가게라면 지역을 가리지 않고 사용이 가능하다는 점인데, 한번 구매한 온누리 상품권은 서울의 전통시장에서도 사용할 수 있고, 울릉도의 전통시장에서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단점은 저통시장과 골목상권 위주로 사용이 가능하다보니 전통시장을 조금만 벗어나면 사용처가 확 줄어드는 것입니다. 부에서 발행하는 상품권이다보니 조폐공사에서 생산하며, 따라서 첨단 위조방지 기술이 상당히 많이 들어가 있습니다. 숨은 그림인 은화부터 변색용지, 형광색사, 홀로그램 은선, 자성잉크 등 웬만한 지폐 수준입니다.

 


온누리 상품권의 종류

 

1.지류상품권 

종이로 된 상품권으로 사용처에서 현금과 비슷하게 사용할 수 있고, 사용 금액의 60% 이상을 사용하면 현금으로 거스름돈을 받을 수 있습니다. 전자기기 등이 필요 없기 떄문에 온누리 상품권을 지원하는 모든 가게에서 사용이 가능하며, 2024년 기준으로 5% 할인 해 판매하고 있습니다

25년 1월1일부터 구매 한도가 낮아져 1인 50만원까지 구매 가능하며, 이전엔 만 14세 미만 미성년자도 법정대리인이 대리 구매할 수 있었지만 올해부터는 법정대리인의 구매도 불가합니다. 

 

 



 

2. 모바일 상품권 

온누리페이, 비플페이 앱을 이용해서 온누리상품권을 앱 내에서 구매 후 필요할 때마다 바코드 형태로 결제할 수 있는 상품권인데, 상품권을 따로 들고 다니지 않아도 사용이 간편해서 젋은 층에서 많이 사용합니다.

역시 60%이상 사용 시 현금으로 환불은 가능하다 10%할인구매액은 빼고 환불해주기 때문에 큰 의미는 없습니다. 한국간편결제진흥원(제로페이)과 운영대행계약이 종료되면서 2023년 4월 1일부터 모바일 온누리상품권의 신규 발행이 중단됐다가 비즈플레이와 운영대행계약을 맺고 2023년 9월 21일부터 판매가 재개되었습니다

기존 제로페이에서 사용하던 상품권은 비즈플레이가 운영하는 비플페이나 온누리페이 앱으로 모두 이관 되었고, 

2024년 4월 기준으로 10%할인해 판매되고 있습니다.

모바일 상품권은 1인 한도 200만원 까지 10% 할인으로 구매가능합니다.

 

 

 

 

 

 

 

3. 카드형상품권

가장 최근에 선보인 온누리상품권 방식입니다. 전용 앱에서 상품권을 구매(충전) 후 필요할 때마다 카드로 결제하는 방식입니다. 결제용 카드는 이미 보유하고 있는 신용카드, 체크카드를 앱에 등록하면 되는데 선불카드가 아니다보니 충전한 상품권이 다 소진되면 원래의 신용카드 혹은 체크카드로 전환 됩니다.

모바일상품권과 비교하자면, 앱에서 상품권을 충전하는 방식은 동일하나, QR결제가 아니라 소비자에게 익숙한 카드결제 방식이 장점입니다. 

 

단 카드형 온누리상품권은 다른 방식의 상품권과 달리 결제 과정에서 결제 수수료가 발생하여 아직 현금이나 지류 상품권을 카드 결제보다 우선시하는 시장 상인들에게 단점이 될 수 있습니다. 그럼에도 이 상품권을 내놓은 중소벤처기업부의 의도는 카드 결제 수수료가 발생하더라도 고객에게 메리트를 더 주어 전통시장에 방문하는 고객을 더 유치하자는 데 있습니다. 

 

사용자의 편의를 극대화 했다는 점에서 장점이 있지만 간혹 잔액이 충분함에도 온누리 상품권 결제가 아닌 여기에 연동된 신용/체크카드로 결제가 이뤄지는 문제도 발생되고 있습니다. 또한 지류상품권에 비해 사용 범위가 매우 좁습니다. 카드형 상품권과 동일하게 1인 한도 200만원 10%할인가로 구매 가능합니다.

 

 

디저털(카드형,모바일) 온누리 상품권은 15% 환급 해주는 이벤트가 진행되고 있다고하는데 구매 후 환급은 1회차 1.10~1.17일 2회차 1.18~1.24 3회차 1.25~1.31 4회차 2.1~2.10 4회차로 나누어 진행된다 


온누리 상품권 사용처 

오프라인 전통시장 또는 온라인 사용처로 분류된 곳은 모두 사용이 가능하기에 사용처를 확인한 후 구매하시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1. 오프라인 사용처 

 

전통시장통통

[먹거리] 서울_코로나19로 집에 콕 해야 하는 우울한 기분, 안전하게 테이크아웃으로 당충...

www.sbiz.or.kr

 

 

 

2. 온라인 사용처

 

 

온누리 시장   https://www.onnuri-mall.co.kr/

온누리 전통시장 https://www.onnuri-sijang.com/onnuri/main

온누리 굿데이 https://www.onnurigood.com/

온누리몰 인더마켓 https://inthemarket.co.kr/ 

온누리 팔도시장 https://onnuri.interparkb2b.co.kr/Extmall/Onnuri.aspx 

놀장 https://mall.noljang.co.kr/

장봄 https://seongdaetm.jangbom.co.kr/Main/index

디페잇뱌 https://dpayshop.co.kr/main/index.php

온누리쇼핑 https://onnurishop.co.kr/

다댐 https://dadem.imweb.me/

시장을방으로 https://oligopalgo.com/

KB pay 쇼핑 http://life.kbcard.com/CXLHTSPCD0136.cms

행정공제회 복지포털 POBA 누리 https://www.poba.or.kr/main

대구시 공공배달앱 대구로  https://daeguro.co.kr/

비씨온누리몰 https://bconnurimall.com/

온누리마켓 https://nurimarket.co.kr/

 


 

온누리 상품권 환급

 

설명절 소비자 물가부담 완화를 위해 전국 전통시장*에서 추석맞이 전통시장 온누리상품권 환급을 해줍니다.

전통시장에서 국산 농축수산물을 구매한 소비자들에게 구매 금액의 최대 30%를 1인당 농축산물 2만원, 수산물 2만원 한도에서 온누리상품권으로 환급해 주는 행사이다. 전통시장에서 국산 농축수산물을 구매한 소비자가 영수증과 신분증을 지참하여 시장 내 환급 부스를 방문하면 본인 확인 후 온누리상품권으로 환급*받을 수 있습니다.

 

 

온누리 상품권 진행중인 이벤트 

 

 

 

 

 

반응형

+ Recent posts